따뜻함과 정이 넘치는 고창군민의 단합된 마음으로 함께 하겠습니다.
HOME  >    >  

들어가며

우리지역 고창이 판소리사에서 매우 유서 깊은 고장이라는 사실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보성, 남원, 구례, 순창, 전주, 광주 등과 같이 판소리 사에서 주요하게 거론되는 기라성 같은 지역들과 나란히 놓았을 때 절대 빠지지 않으며 판소리의 역사가 고창에 부여하는 특수한 의미 속에서 의연하게 판소리의 고향이자 성지로서 우뚝 서 있는 것이다. 우리 고장 고창은 김수영(金壽永, 헌종·철종·고종, 흥덕 출생) 김창록(金昌祿, 무장 출생), 김찬업(金贊業, 철종·고종, 흥덕출생), 진채선(陳彩仙, 철종·고종, 무장출생), 김토산(1871-1950 중반, 심원출생), 김성수(본명: 金二洙, 1930- ,심원에서 자람), 김여란(金如蘭, 1907- , 흥덕출생), 김소희(金素姬, 1917-1995, 흥덕출생) 등 유수한 명창들을 배출했을 뿐 아니라, 무엇보다도 고창의 판소리에서 큰 획을 그었던 동리 신재효 선생을 배출한 고장이며, 또 그 문하에 앞의 김창록, 진채선을 제외하고도 박만순(朴萬順, 동편), 이날치(李捺致, 서편), 김세종(金世宗, 동편), 정창업(丁昌業, 서편) 등의 유수한 명창들이 배움을 얻어 거쳐갔으며, 허금파(許錦波, 고종, 출신지불명, 해방 후까지 고창에 기거) 등이 활동했으니, 결코 판소리의 성지라는 말이 빈말이 아닌 것이다. 여기에서 신재효 선생은 지금의 고창을 판소리의 성지로서 주요하게 특징짓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그런데, 여기에서 이미 전제되어 있는 것은 판소리가 시나위무가음악권을 중심으로 발달한 하나의 거대한 문화적 실체라는 점이다. 말하자면, 지역의 판소리는 판소리 전체의 의미면에서 볼 때 하나의 부분이며 이 부분들이 모여서 하나의 거대한 의미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역적인 부분만을 따로 떼어놓았을 때, 판소리는 큰 의미가 있기 어렵다.

주지하다시피, 판소리는 태생부터 이미 판소리 탄생과 발전은 조선후기라는 역사적인 시기에 봉건양반사회로부터의 탈영토화와 재영토화 사이의 역사적인 힘들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발전을 거듭하면서 전국민적인 예술이 되었다. 그 기원에 있어서도 설화기원설, 서사무가기원설, 광대소학지희기원설, 육자배기토리기원설, 판놀음기원설, 산이기원설 등이 설명해주고 있는 것처럼, 설화, 무가, 소학지희, 육자배기, 판놀음, 강창문학 그리고 여기에 더하여 가사, 가곡, 시조 등의 성악 예술 등 매우 다양한 기존 장르들의 요소들의 총화/정화로서 매우 복잡한 양상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더군다나 판소리 연구의 또 하나의 특수한 난점은 판소리가 그 전승방식에 있어서 리좀(rhizome: 근경(根莖))적인 전승과 발전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리좀이란, 하나의 뿌리로 귀착되는 나뭇가지의 구조(수목구조)와는 달리, 이런저런 줄기들이 어떤 중심뿌리 없이 분기되고 접속되는 상(狀)을 말하는 것이다.

이는 광대들이 한 곳에 머물기 보다는 끊임없이 이동하면서 소리품을 팔아온 예술연행행태나, 판소리를 배우기 위해 판소리의 훌륭한 스승을 찾아 길을 나서왔던 관행에서도 알 수 있다.

따라서 누구누구의 훌륭한 명창이 이 지역의 출신이라는 것이 큰 문화적 의미를 갖기는 어렵다. 많은 명창들이 어떤 지역 출신이기는 하되 그 지역과는 별 연관성이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중요한 점은, 판소리 전체 지형도에서 그 지역(고창)이 어떠한 특수한 맥락을 가지고 있으며, 판소리사에서 어떻게 발전에 이바지했고, 또 어떠한 문화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앞으로 판소리의 발전방향은 무엇이냐 하는 점이다.

즉 지연에 얽매이기 보다는 전체적인 판소리의 총체적 의미 속에서 지역의 판소리의 특수한 문화적 의미를 살피고 또 지역의 판소리 문화가 어떻게 전체적인 판소리사에 기여하고 있는지 그 문화적 맥락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될 때, 진정한 의미에서의 지역 판소리의 문화적 업적과 의미를 명확하게 짚어낼 수 있고, 그 발전방향도 모색할 수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은 전제 속에서 고창 중심으로 고창지역 판소리를 특수한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고창이 전체 판소리사에서 어떤 문화적 윤곽을 남기고 있으며 그 의미가 무엇인지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